반응형 Algorithm296 [Python/Java] 백준 17626번 - Four Squares https://www.acmicpc.net/problem/17626 17626번: Four Squares 라그랑주는 1770년에 모든 자연수는 넷 혹은 그 이하의 제곱수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고 증명하였다. 어떤 자연수는 복수의 방법으로 표현된다. 예를 들면, 26은 52과 12의 합이다; 또한 42 + 32 + 1 www.acmicpc.net 혼자 힘으로 풀었는가? : X 구글에 검색해봄(문제가 이해되지 않았음) 알고리즘 유형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 브루트포스 알고리즘 문제 라그랑주는 1770년에 모든 자연수는 넷 혹은 그 이하의 제곱수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고 증명하였다. 어떤 자연수는 복수의 방법으로 표현된다. 예를 들면, 26은 52과 12의 합이다; 또한 42 + 32 + 12으로 표현할.. 2022. 11. 16. [Python][이코테] 최단경로 / 다익스트라 알고리즘(2) 2022.11.09 - [Algorithm/이것이 코딩테스트다] - [Python][이코테] 최단경로 / 다익스트라 알고리즘(1) 개선된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기존의 간단한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은 시간 복잡도가 \(O(V^2)\) 이다. 이번에 공부할 개선된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은 \(O(ElogV)\)를 보장한다. (E = 간선의 개수, V = 노드의 개수) 간단한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은 '최단 거리가 가장 짧은 노드'를 찾기 위해 매번 최단 거리 테이블을 선형적으로 탐색했다. 이 과정에서만 \(O(V)\)의 시간이 걸렸다. 하지만 개선된 알고리즘은 힙(Heap) 자료구조를 사용한다. 힙 자료구조를 사용하면 특정노드까지의 최단 거리에 대한 정보를 힙에 담아서 처리하므로 가장 짧은 노드를 더욱 빠르게 찾을 수 .. 2022. 11. 15. [Python] 백준 11726번 - 2×n 타일링 https://www.acmicpc.net/problem/11726 11726번: 2×n 타일링 2×n 크기의 직사각형을 1×2, 2×1 타일로 채우는 방법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아래 그림은 2×5 크기의 직사각형을 채운 한 가지 방법의 예이다. www.acmicpc.net 혼자 힘으로 풀었는가? : O 알고리즘 유형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문제 2×n 크기의 직사각형을 1×2, 2×1 타일로 채우는 방법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아래 그림은 2×5 크기의 직사각형을 채운 한 가지 방법의 예이다. 입력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1 ≤ n ≤ 1,000) 출력 첫째 줄에 2×n 크기의 직사각형을 채우는 방법의 수를 10,007로 나눈 나머지를 출력한다. 쉬운 문제이다. 20.. 2022. 11. 14. [Python] 백준 11659번 - 구간 합 구하기 4 https://www.acmicpc.net/problem/11659 11659번: 구간 합 구하기 4 첫째 줄에 수의 개수 N과 합을 구해야 하는 횟수 M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N개의 수가 주어진다. 수는 1,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셋째 줄부터 M개의 줄에는 합을 구해야 하는 구간 i와 j www.acmicpc.net 혼자 힘으로 풀었는가? : X 알고리즘 유형 - 누적 합 문제 수 N개가 주어졌을 때, i번째 수부터 j번째 수까지 합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수의 개수 N과 합을 구해야 하는 횟수 M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N개의 수가 주어진다. 수는 1,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셋째 줄부터 M개의 줄에는 합을 구해야 하는 구간 i와 j가 주어진다. .. 2022. 11. 13. 이전 1 ··· 54 55 56 57 58 59 60 ··· 7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