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알고리즘123

[Python] 백준 2231번 - 분해합 문제 어떤 자연수 N이 있을 때, 그 자연수 N의 분해합은 N과 N을 이루는 각 자릿수의 합을 의미한다. 어떤 자연수 M의 분해합이 N인 경우, M을 N의 생성자라 한다. 예를 들어, 245의 분해합은 256(=245+2+4+5)이 된다. 따라서 245는 256의 생성자가 된다. 물론, 어떤 자연수의 경우에는 생성자가 없을 수도 있다. 반대로, 생성자가 여러 개인 자연수도 있을 수 있다. 자연수 N이 주어졌을 때, N의 가장 작은 생성자를 구해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자연수 N(1 ≤ N ≤ 1,000,000)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답을 출력한다. 생성자가 없는 경우에는 0을 출력한다. 코드 n = input() min_m = int(n)-len(n)*9 check = 0 if.. 2022. 9. 20.
[Python][이코테] 퀵 정렬 퀵 정렬 퀵 정렬은 이름대로 굉장히 빠른 정렬을 해주는 알고리즘이다. 또한 굉장히 많이 쓰인다. 기준 데이터를 설정하고 그 기준보다 큰 데이터와 작은 데이터의 위치를 바꾼다. 이게 퀵 정렬의 기본이다. 과정 리스트 안에 있는 한 요소를 선택한다. 이를 피벗(pivot) 이라고 한다. 피벗을 기준으로 피벗보다 작은 값은 왼쪽, 큰 값은 오른쪽으로 나눈다. 먼저 사용된 피벗을 제외한 왼쪽 리스트와 오른쪽 리스트를 기준으로 피벗을 각자 정해 다시 정렬한다. 나눠진 리스트들이 분할이 불가능할 때까지 반복한다. array = [5, 7, 9, 0, 3, 1, 6, 2, 4, 8] def quick_sort(array, start, end): if start >= end: #원소가 1개인 경우 종료 return p.. 2022. 9. 13.
[Python][이코테] 삽입 정렬 삽입 정렬 삽입 정렬은 말 그대로 '삽입' 하여 정렬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0~9까지 숫자를 오름차순 하고 싶은데 앞의 '선택 정렬'은 가장 작은 숫자를 '찾아서' 순서대로 맞춘다. 하지만 삽입 정렬은 일부러 찾는 것이 아닌 앞 인덱스와 비교하여 현재 인덱스 값 보다 앞 인덱스 값이 크면 '선택'하여 앞으로 보내는 것이다. 삽입 정렬은 선택 정렬에 비해 실행 시간 측면에서 더 효율적이다. 삽입 정렬은 필요할 때만 위치를 바꾸므로 데이터가 거의 정렬되어 있을 때 훨씬 효율적이다. 선택 정렬은 현재 데이터의 상태와 상관없이 무조건 모든 원소를 비교하고 위치를 바꾸는 반면 삽입 정렬은 그렇지 않다. array = [7, 5, 9, 0, 3, 1, 6, 2, 4, 8] for i in range(1, len(.. 2022. 8. 31.
[Python] 백준 10988번 - 팰린드롬인지 확인하기 문제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진 단어가 주어진다. 이때, 이 단어가 팰린드롬인지 아닌지 확인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팰린드롬이란 앞으로 읽을 때와 거꾸로 읽을 때 똑같은 단어를 말한다. level, noon은 팰린드롬이고, baekjoon, online, judge는 팰린드롬이 아니다. 입력 첫째 줄에 단어가 주어진다. 단어의 길이는 1보다 크거나 같고, 100보다 작거나 같으며,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다. 출력 첫째 줄에 팰린드롬이면 1, 아니면 0을 출력한다. 2가지 방법으로 풀었다. 처음에는 크게 생각 못하고 문자열을 반으로 나누고 뒷부분 반을 뒤집어서 생각하면 되겠구나 싶었다. s = input() if len(s)%2 == 0: a = s[0:len(s)//2] b = s[len(s).. 2022. 8.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