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Algorithm296

[Python][이코테] 퀵 정렬 퀵 정렬 퀵 정렬은 이름대로 굉장히 빠른 정렬을 해주는 알고리즘이다. 또한 굉장히 많이 쓰인다. 기준 데이터를 설정하고 그 기준보다 큰 데이터와 작은 데이터의 위치를 바꾼다. 이게 퀵 정렬의 기본이다. 과정 리스트 안에 있는 한 요소를 선택한다. 이를 피벗(pivot) 이라고 한다. 피벗을 기준으로 피벗보다 작은 값은 왼쪽, 큰 값은 오른쪽으로 나눈다. 먼저 사용된 피벗을 제외한 왼쪽 리스트와 오른쪽 리스트를 기준으로 피벗을 각자 정해 다시 정렬한다. 나눠진 리스트들이 분할이 불가능할 때까지 반복한다. array = [5, 7, 9, 0, 3, 1, 6, 2, 4, 8] def quick_sort(array, start, end): if start >= end: #원소가 1개인 경우 종료 return p.. 2022. 9. 13.
[Python]백준 2908번 - 상수 문제 상근이의 동생 상수는 수학을 정말 못한다. 상수는 숫자를 읽는데 문제가 있다. 이렇게 수학을 못하는 상수를 위해서 상근이는 수의 크기를 비교하는 문제를 내주었다. 상근이는 세 자릿수 두 개를 칠판에 써주었다. 그다음에 크기가 큰 수를 말해보라고 했다. 상수는 수를 다른 사람과 다르게 거꾸로 읽는다. 예를 들어, 734와 893을 칠판에 적었다면, 상수는 이 수를 437과 398로 읽는다. 따라서, 상수는 두 수중 큰 수인 437을 큰 수라고 말할 것이다. 두 수가 주어졌을 때, 상수의 대답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상근이가 칠판에 적은 두 수 A와 B가 주어진다. 두 수는 같지 않은 세 자릿수이며, 0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출력 첫째 줄에 상수의 대답을 출력한다. 각 숫자.. 2022. 9. 13.
[Python][이코테] 삽입 정렬 삽입 정렬 삽입 정렬은 말 그대로 '삽입' 하여 정렬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0~9까지 숫자를 오름차순 하고 싶은데 앞의 '선택 정렬'은 가장 작은 숫자를 '찾아서' 순서대로 맞춘다. 하지만 삽입 정렬은 일부러 찾는 것이 아닌 앞 인덱스와 비교하여 현재 인덱스 값 보다 앞 인덱스 값이 크면 '선택'하여 앞으로 보내는 것이다. 삽입 정렬은 선택 정렬에 비해 실행 시간 측면에서 더 효율적이다. 삽입 정렬은 필요할 때만 위치를 바꾸므로 데이터가 거의 정렬되어 있을 때 훨씬 효율적이다. 선택 정렬은 현재 데이터의 상태와 상관없이 무조건 모든 원소를 비교하고 위치를 바꾸는 반면 삽입 정렬은 그렇지 않다. array = [7, 5, 9, 0, 3, 1, 6, 2, 4, 8] for i in range(1, len(.. 2022. 8. 31.
[Python] 백준 1157번 - 단어 공부 문제 알파벳 대소문자로 된 단어가 주어지면, 이 단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알파벳이 무엇인지 알아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단, 대문자와 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다. 입력 첫째 줄에 알파벳 대소문자로 이루어진 단어가 주어진다. 주어지는 단어의 길이는 1,000,000을 넘지 않는다. 출력 첫째 줄에 이 단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알파벳을 대문자로 출력한다. 단, 가장 많이 사용된 알파벳이 여러 개 존재하는 경우에는 ?를 출력한다. 정답 코드 word = input().upper() spell = list(set(word)) cnt_list = [] for i in spell: cnt = word.count(i) cnt_list.append(cnt) if cnt_list.count(max(cnt_list).. 2022. 8. 24.
반응형